스트럿츠에서 자공하는 파일업로드 유틸을 사용할 경우
데이터 베이스에 한글 파일명은 깨져서 기입되는데,
결국은 방법을 찾아내었다.
다음과 같이 필터를 사용하면 된다.
package study.filt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x.servlet.Filter;
import javax.servlet.FilterChain;
import javax.servlet.FilterConfig;
import javax.servlet.ServletException;
import javax.servlet.ServletRequest;
import javax.servlet.ServletResponse;
public class EncodingFilter implements Filter {
private String encoding = null;
protected FilterConfig filterConfig = null;
public void destroy() {
this.encoding = null;
this.filterConfig = null;
}
public void doFilter(ServletRequest request, ServletResponse response, FilterChain chain)
throws IOException, ServletException {
if(request.getCharacterEncoding() == null) {
if(encoding != null) {
request.setCharacterEncoding(encoding);
}
}
chain.doFilter(request, response);
}
public void init(FilterConfig filterConfig) throws ServletException {
this.filterConfig = filterConfig;
this.encoding = filterConfig.getInitParameter("encoding");
}
public FilterConfig getFilterConfig() {
return filterConfig;
}
public void setFilterConfig(FilterConfig cfg) {
filterConfig = cfg;
}
}
위와같이 클래스를 생성하고
web.xml에서 필터를 등록한다.
<web-app>
<filter>
<filter-name>Encoding Filter</filter-name>
<filter-class>study.filter.EncodingFilter</filter-class>
<init-param>
<param-name>encoding</param-name>
<param-value>EUC-KR</param-value>
</init-param>
</filter>
<filter-mapping>
<filter-name>Encoding Filter</filter-name>
<url-pattern>/*</url-pattern>
</filter-mapping>
</web-app>
'작업노트 >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Spring] AOP(Aspect Oriented Programming), 관점지향 프로그래밍의 이해 (0) | 2008.01.14 |
|---|---|
| [Struts] Action 에서 포워딩 시 parameter 넘기는 법 (0) | 2008.01.14 |
| [Spring] IoC(Inversion of Controll), 역행 제어의 개념 (0) | 2008.01.12 |
| [VSSH] ZDNet 연재 자료 (Velocity + Struts + Spring + Hibernate) (0) | 2007.05.02 |
| [Struts] ActionForm Beans (0) | 2007.05.01 |
타겟으로 사용되는 <div>태그에 제대로 내용이 나타나지 않았는데,
<tr><td>로 묶어주니 제대로 표현이 되었다.
<tr><td>
<div id="photos"> </div>
</td></tr>
이런식으로.
'작업노트 > HTML &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아이프레임 리사이즈 문제 해법 (0) | 2008.01.05 |
|---|---|
| name과 id의 차이 (0) | 2007.09.15 |
| GET방식으로 한글 보내는 방법 (0) | 2007.09.04 |
| 서블릿을 이용할때 iframe resize가 안되는 경우.. (1) | 2007.07.17 |
| HTML 객체 계층도 (0) | 2007.05.31 |
인터넷에 돌고 있는 아이프레임의 리사이즈 함수들은
서블릿을 통해 부모페이지가 로드될경우 리사이즈 되지가 않는다.
(왜그런지는 모르겠으나.. 크기를 제대로 잡지 못한다.)
<script>
var ifrContentsTimer;
function resizeRetry() { //로딩 완료후 다시한번 리사이즈
if(document.body.readyState == "complete") {
clearInterval(ifrContentsTimer);
} else {
resizeFrame();
}
}
function resizeFrame(){ //로딩 즉시 리사이즈
self.resizeTo(document.body.scrollWidth + (document.body.offsetWidth-document.body.clientWidth), parseInt(document.body.scrollHeight)+10);
}
</script>
<body onload="resizeFrame();ifrContentsTimer = setInterval('resizeRetry()', 100);">
아이프레임에 들어갈 문서(자식 페이지)에 위 내용을 추가/수정한다.
아마도 서블릿 매핑하는 과정이 오래걸려서?? 로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
리사이즈 되는 모냥이다.
'작업노트 > HTML &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아이프레임 리사이즈 문제 해법 (0) | 2008.01.05 |
|---|---|
| name과 id의 차이 (0) | 2007.09.15 |
| GET방식으로 한글 보내는 방법 (0) | 2007.09.04 |
| innerHTML을 사용할 시에 (0) | 2007.08.29 |
| HTML 객체 계층도 (0) | 2007.05.31 |


